|
◈ 서수, 서금 문양 |
|
|
(1) 용무늬 |
|
|
상서로움을 뜻하는 상징적 동물로 동양에서는 힘과 선의 수호신이며 권력과 출세를 나타내며 왕가의 상징으로 임금의
곤룡포, 궁궐의 천장화, 용상 등에 쓰였으며 도자기, 목기, 은입사 등에도 많이 쓰였다. 용의 발톱 수에 따라 계급을 달리 하였으며, 보(補)도
황제는 발톱이 다섯 달린 오조룡, 왕은 사조룡, 왕세자는 삼조롱을 각기 수놓아 엄격한 구분이 뒤따랐음을 알 수 있다. |
|
| |
|
|
|
(2) 봉황무늬 |
|
|
상상의 새로 천황의 상징이기도 하며, 온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 알아 치란(治亂)이 일어나는 것을 미리 알고 어진
임금이 보위에 올라 천하가 태평해 지면 그 모습을 나타낸다고 하여 봉황이 나타나면 일이 모두 잘되고 모든 사람에게 길복이 온다고 믿었다. 봉황은
四靈獸(용, 봉황, 기린, 거북) 가운데 하나로 사신(四神 :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의 남방을 수호하는 주작도 봉황의 하나로 보고 있다.
꼬리의 형태는 후대에 물고기형에서 공작형으로 변화되었으며, 봉황문은 현대 생활의 각 부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아름답고, 대표적인 문양으로 남아
의지와 선비의 도를 뜻하기도 한다. |
|
| |
|
|
|
(3) 학무늬 |
|
|
십장생의 하나로 조류 가운데 가장 장수하며 선비의 품위와 학식을 나타내며 각종 공예의 도안으로 자주 쓰여진 문양이며,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무늬이다. |
|
 | |
|
|
|
(4) 호랑이 무늬 |
|
|
백수의 왕을 상징하며 잡귀를 막아 준다는 뜻에서 민화나 모든 공예품의 문양에 많이 쓰인다. |
|
 | |
|
|
|
(5) 박쥐 문양 |
|
|
박쥐는 복을 상징하여, 복자 대신 박쥐를 그려 넣는데 편복이 쌍으로 대치하여 쌍복을 뜻하고 다섯 마리의 박쥐를 넣어
오복을 뜻하였다. 잡귀를 쫓는다는 의미 외에 번식률이 강해 자손의 번창과 多男을 뜻해 아낌을 받은 문양 중의 하나이다. |
|
| |
|
|
|
(6) 귀학도 |
|
|
거북은 예부터 만년을 사는 고령동물이며, 학은 천년을 살며 장수하는 선금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
|
 | |
|
|
|
(7) 안압도 (기러기 문양) |
|
|
한 번 맺은 짝은 절대 헤어지지 않는다는 수절의 새여서 사이좋게 백년 해로 하라는 의미로
쓰여진다. | |
|
|
|
(8) 계도 (닭그림) |
|
|
밝음을 예고하는 새로 신조로 생각했으며, 새벽에는 귀신을 쫓는 대길(大吉)의 새로 여겼다. |
|
 | |
|
|
|
(9) 원앙무늬 |
|
|
화목한 부부의 애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부부금술을 염원하며 썼던 문양으로 화평과 안정의 의미로 모든 기물에
이용되었다. |
|
| |
|
|
|
(10) 나비문양 |
|
|
나비는 기쁨의 상징이고, 여름을 상징하며 부부금술이 좋음을 상징하여 이불깃이나 보자기, 혼례의상, 대례복 문양으로
다양하게 쓰여졌으며 여성용품이나 안방의 병풍그림, 가구 등에 흔히 장식되고 도자기에 그려졌다 |
|
 | |
|
|
|
(11) 물고기 문양 |
|
|
인내를 상징하며 부귀를 뜻하였다. 자손의 번영을 의미하고 남자의 정력을 나타내기도 하며 학문적인 명성이나 시험을
합격하여 등용함을 상징한다. 잉어가 입신 출세의 상징문으로 쓰이고 있는 것은 과거에 급제하여 높은 벼슬에 이르는 것을 등용문을 통과하였다고
하는 것과 관련된다. |
|
 | |
|
|
|
(12) 귀면무늬 |
|
|
도깨비의 형상을 상상하여 의인화시킨 형상이다. 귀면문은 상징적인 현상을 문양화 한 것인데, 주술적인 제기의 장식
의장이나 건축, 고분에서 상징적인 그림으로 많이 나타난다. |
|
 | | | |